기술자료
Home > 기술자료 > 토목 및 터널 보수보강 공법
토목 및 터널 보수보강 공법
느슨한 지반, 암반을 신속하게 고결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며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누수를 차수, 보수하는 "공법"입니다.

지반 공사시 애커머리 유입수의 신소차수와 지속적 방수
토목, 터널 공사중에 유입되는 물을 신속 정확하 게 차단하며 연약한 지반과 암반을 강력하게 고 결하여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킵니다. 또한 터널, 댐, 항만과 각종 공동구의 콘크리트구 조물에 발생하는 균열누수를 항구적으로 강화, 방 수 보수하여 시공후 수축현상이 없습니다. 높은강도, 0.4mm의 미세균열 부위까지 파고드는 강력한 침투력, 콘크리트 보다 높은 접착력, 초급 속 경화, 구조물의 조인트 부위의 높은 신축성을 요구하는 곳과 해수에도 내성이 강하며 환경에 영 향을 주지 않는 공법입니다.

지반 공사시 애커머리 유입수의 신소차수와 지속적 방수
- 느슨한 암반을 안정화 및 볼팅
- 가스와 물 유입을 막음
- 터널 굴착 공사중 암반 표층의 사전 안정화 및 터널 상충부의 붕괴를 막는 볼링 공사 - 가스와 물 유입을 막음
- 파이핑 공사시 발생하는 붕괴위험을 막기위한 인젝션
- 흘러들어 오는 물을 씰링
- 토목 공사중의 핏트, 도랑(유도로), 버팀대, 댐, 쐐기 및 수문을 씰링
- 바닥 면과 기초를 안정화
- 댐, 터널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 하수도, 전력 및 통신용 도간의 보수
- 배수관 수리
- 하수 처리 플랜트 씰링
- 유해 독극 폐기물 보관 장소를 씰링
씰링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 앞서서 인젝션 시공함
증축공사 또는 기존 건물에 인접하여 공사 할 때, 기존 구조물의 밑으로부터 나오는 물로 인하여 이미 파 놓은 핏트가 유실될 수 있다. 인접 지역의 미세한 흙이 물에 씻겨 침투하는 경우 기존 건물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런 경우 수지 주입으로, 흘러 들어 오는 물과 압력을 가하고 있는 물을 확실하게 막을수가 있으며, 또한 건물 기초의 유실 부분을 씰링하고 안정화할 수 있습니다.

핏트의 물이 새어 들어오는 것을 씰링함
터널을 뚫을 때 - 특히 굴착을 시작할 때 - 핏트를 파게됩니다. 이단계에서 파일과 옹벽 사이에 결함이 자주 발견 됩니다. 기존 시멘트액 주입 방법으로 큰 결함 부위 를 채우기는 불가능 합니다. 이런 경우 저점도의 수지, 특수 튜브를 이용하여 인젝션, 해결 합니다. 이저점도 수지는 힘들이지 않고 토양에 침투하여 결함 부의를 완벽하게 씰링 합니다. 토목 작업을 계속하거나 핏트내에 고인 물을 제거하는데 아무런 장애가 없게 됩니다.

핏트 바닥과 벽면 사이에 인젝션 함.
일반적으로 지하수면을 낮추어 핏트로 들어오는 물을 막게 됩니다. 그러나, 기존 구조물에 접하여 공사를 할 때는 이러한 방법으로는 물 유입을 막을 수가 없읍니다. 핏트의 물을 밖으로 퍼 내는데 대단한 주의를 기울 여도, 대량의 물과 자갈 등이 핏트 라이닝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있읍니다. 이러한 결함은, 물이 침투하는 부분의 바닥면에 천 공을하고 수지를 주입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시간당 120㎥이상 유입되는 물도 이 시공법으로 완전 하게 막을 수 있읍니다. 물로인하여 유실된 모래 흙은 수지 주입으로 메꿔지며, 바닥면의 하증으로 인해 밑 으로 침하되는 현상도 막을 수 있게 됩니다.

수지를 인젝션하기 전과 후의 앵커머리
가끔 핏트 벽면에 시공하는 타이 - 백 앵커는 지하 수면 아래에 위치하며, 따라서 지하수의 압력 때문 에 앵커머리 부분에 물이 새어 들어오게 됩니다. 이경우 앵커 머리 부분을 씰링하기 위해 특별히 제 작된 주입 장비와 함께 적합한 수지를 제공 합니다.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로 그 것들 입니다. 한개 앵커 머리당 단지 5 킬로그램의 수지를 주입 하여 유입되는 물을 확실하게 씰링 합니다.

철도터널에 인젝션 시공
고속도로나 철도 터널 벽면에 물이 셀 경우 항상 겨울 철에 고드름이 생기며 교통에 막대한 장애를 주게 됩 니다. 인젝션 기술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읍니다.0.2mm 에서 0.6mm폭의 크랙은 저점도 수지를 분당 0.5~1.5 릿터, 펌프압력을 15 바로하여 인젝션 합니다. 이 수 지는 크랙을 효과적이고 항구적으로 메우게 되며, 탄 성이 좋기 때문에 터널의 일정하지 않은 하중을 흡수 하여 줍니다.
강화

수지를 상용하여 교량을 보수함
낡고 오래된 철교의 하중을 받는 구조물은 코일 철판 과 이를 연결하는 시멘트 아아치로 되어 있읍니다. 수십년간 사용후 과도한 하중 때문에 피로 현상이 생 기고 이 부위에 크랙이 나타나며 빗물이 침투하여 고 이게 됩니다. 이 빗물은 겨울철에 얼게 되면 팽창하여 부위를 파손 시키며 구조물의 안전 문제를 야기하여 통행에 부적 합하게 됩니다. 이러한 교량을 복구 하려면, 느슨해진 콘크리트 부위 를 제거(특히 들보의 플렌지 주변)하고, 크랙 부위에 천공을 한다음, 팩커를 통하여 수지를 천천히 주입 합니다. 수지는 항구적으로 콘크리트에 생긴 크랙을 씰링합니다.

하수도관을 보수함
사람이 걸어 들어 갈수 있는 대형 지하수관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는 외벽의 씰링 결함, 미세한 균열 및 접합 부위의 결함 등등 입니다. 도관을 본래 상태로 보수하는 것은 용이 합니다. 보수 에 적합한 하수관의 벽면에 생긴 결함들은 먼저 천공 한 다음 팩커를 삽입하고, 수지를 주입합니다. 이수지는 크랙과 결함 부위로 침투, 틈새를 메우며 경 화 됩니다. 이 시공법으로 도관 단층의 결함 부위가 확실하게 씰 링 됩니다. 이 시공법으로 보수된 하수도관은 정상 도관처럼 전 혀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